목록개발/CS (5)
그저 내가 되었고
CPU, 하드디스크, 램(메모리), 그래픽카드의 관계 음식 가게를 예를 들어 컴퓨터 부품들을 소개합니다. 요리는 요리사의 빠른 판단과 요리 계획에서 만들어집니다. 그러므로 요리사를 빼 버리면 요리를 만들 수가 없을 것입니다. 컴퓨터 부품에서 `중앙처리장치(CPU)`가 바로 그런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너무 할 일이 많으면 눈으로 보기 좋게 만들어야 하는 데코레이션 과정을 보조요리사에게 넘기는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즉 `그래픽카드(GPU)`는 보조 요리사인 셈입니다. (사진: 중앙처리장치(CPU)의 뒷면과 열을 식히기 위한 CPU위의 쿨러 [CPU와 GPU의 역할] / ⓒ Michael Schwarzenberger, Firmin-hu) 하지만 어쨌거나 요리는 주방의 요리대에서 만들어집니다. 도마나 칼,..
- 콘솔: 하드웨어 (물리적으로 직접 호스트에 붙어있는 장치).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와 모니터와 같은 출력 장치 같은 하드웨어 e.g.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 터미널: 소프트웨어 (호스트와 통신하는 소프트웨어). 컴퓨터에 명령을 전탈하는 프로그램. 윈도우의 cmd, 터미널 등등 e.g. 코딩 하는 프로그램 콘솔 터미널 - 콘솔을 이용하여 띄운 터미널 원격 터미널 - 다른 호스트의 콘솔 혹은 에뮬레이션된 시스템에서 네트워크로 접속해서 띄운 터미널 (보안적인 측면 때문에 어떤 시스템은 원격에서의 접근은 제한하고 콘솔에서만 접근할 수 있도록 허락) - 쉘: 사람이 아는 언어(명령어)를 컴퓨터(하드웨어)가 아는 언어(0,1)의 형태로 바꿔 주는 일종의 번역기 e.g. 컴파일러 출처:: https..
주요 상태 코드 - 200: OK, 요청이 성공적으로 됨. 정보는 요청에 따른 응답을 반환함. - 400: Bad Request, 잘못된 문법으로 서버가 요청을 이해할 수 없음. - 401: Unauthorized, 의미상으로는 비인증(Unauthenticated)임. 클라이언트는 요청한 응답을 받기 위해 반드시 스스로를 인증해야 함. - 403: Forbidden, 클라이언트는 컨텐츠에 접근할 권리가 없음. 예컨대 미승인이어서 서버는 거절을 위한 적절한 응답을 보냄. 401과 달느 점은 서버가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는 알고 있음. - 404: Not Found, 서버가 요청받은 리소스를 찾을 수 없음. 브라우저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URL을 의미. API에서 종점은 적절하지만 리소스 자체는 존재하지 않음을..
자료구조 資料構造 / data structure 요약) 컴퓨터에서 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구조화시키는 방법. 의미)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를 구조적으로 표현하는 방식과 이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알고리즘에 대해 논하는 기초이론, 혹은 과목. 컴퓨터 과학에서 효율적인 접근 및 수정을 가능케 하는 자료의 조직, 관리, 저장을 의미. 더 정확히 말해, 자료 구조는 데이터 값의 모임, 또 데이터 간의 관계, 그리고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는 함수나 명령을 의미한다. 신중히 선택한 자료구조는 보다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자료구조의 선택문제는 대개 추상 자료형의 선택으로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효과적으로 설계된 자료구조는 실행시간 혹은 메모리 용량과 같은 자원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면서 연..
이런게 궁금해지는 날이 올 줄이야..... 역시 사람은 경험하고 볼 일ㅋㅋㅋㅋㅋ 각설하고, 최근 CS50이라는 하버드의 강의를 부스트코스에서 수강중에 있다. 그러다가 CS라는 용어 자체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다. 흔히 생각하는 '과학'이라면 물리학, 천문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등등 기초과학에 가깝고, 컴퓨터 과학보다는 오히려 컴퓨터 공학에 가까울 것 같은데 왜 Computer Science라고 부르는걸까? 싶었다. 찾아보니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의 역대 연구원분께서 적어놓으신 글이 있어서 좀 가져와보았다. 또한 밑에는 컴퓨터과학(Computer Science)와 컴퓨터공학(Computer Engineering)의 차이에 관해 개발자 커뮤니티 오키에서 긁어온 댓글도 좀 첨부해보았다. 여러 글을 읽어도 아직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