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개발/BE 일반*개발 이야기 (17)
그저 내가 되었고
.... ㅠ 사용자 정보만 받으면 되는데 마지막에 이게 안뽑혀서 어이없었다. 블로그 다 뒤져봐도https://www.googleapis.com/userinfo/v2/me여기서 받아오는게 맞는데 뭐가 뭔지 알 수 없었음 속는셈치고 챗지피티한테 코드랑 에러 보여줬더니 구글 로그인의 사용자 정보를 받으려면,/userinfo/v2/me 엔드포인트는 Google API의 올바른 경로가 아닙니다.Google OAuth 2.0에서 사용자 정보를 가져오려면 https://www.googleapis.com/oauth2/v3/userinfo 엔드포인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라고 하길래 엔드포인트 바꿨더니 바로 잘 작동한다. ...... 챗지피티야 고마워(또르륵) 아니 근데 최근까지 작성된 여타 블로그들은 ..
📌 Algorithm - 거품 정렬(Bubble Sort) - 선택 정렬(Selection Sort) - 삽입 정렬(Insertion Sort) - 퀵 정렬(Quick Sort) - 병합 정렬(Merge Sort) - 힙 정렬(Heap Sort) - 기수 정렬(Radix Sort) - 계수 정렬(Counting Sort) - 이분 탐색(Binary Search) - 해시 테이블(Hash Table) - 깊이 우선 탐색(DFS, Depth-First Search) & 넓이 우선 탐색(BFS, Breadth-First Search) - 최장 증가 수열(LIS, Longest Increasing Subsequence) - 최소 공통 조상(LCA, Lowest Common Ancestor) - 동적 계획법(DP..
Ref:: https://javascript.plainenglish.io/coding-wont-exist-in-5-years-this-is-why-6da748ba676c Coding Won’t Exist In 5 Years. This Is Why Those who won’t adapt would cease to exist. javascript.plainenglish.io Once upon a time, in a world not too different from ours, handmade clothing was the norm. Skilled artisans would spend countless hours creating beautiful garments, each one unique and craft..
제 6회 2023 CLOUD Conference “성공적인 구축 사례 중심의 Cloud Native 전략” 다녀온 짤막 후기 이런 큰 규모의 컨퍼런스는 처음 다녀와본다(대표님 감사,,) 2주 전만 해도 진짜.. 1도 알아먹지 못했을 이야기들인데, 2주간 미친듯이 네트워킹과 클라우드에 대해 머리에 집어넣었고 결과 컨퍼에서 오가는 이야기가 어느정도 귀에 들어왔다. 내가 지금 다니는 회사는 이미 어느정도 클라우드 시스템이 빌드되어 있고, 앞으로 어떻게 더 스마트하고 안정적인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구현할 수 있을지가 고민해볼만한 과제일 것. + 어떤 연사님이 "여기 오신 분들은.. 개발자나 엔지니어 분들이 아니라 비즈니스 결정권을 가지신 분들이실텐데요~" 하셨는데 ㅋㅋ... 속으로 '........ 전..ㅋ.....
스프링... 각오는 했지만 너무 어렵다. 정신이 하나도 없다. ㄹㅇ 정신이 혼미함;;;;;;;; 생각해 보면.. 스프링과 비교했을 때 노드는 진짜 쉬웠다. 노드는 Backend Framework에 첫 진입 용으로 최고라고 생각된다. 난 차례대로 NodeJS(language: JS) ➡️ NestJS(language: JS) ➡️ Spring(language: Java)로 넘어와서 체계를 더하며 잘 넘어왔다고 생각하긴 하는데. ... 음...... 이미 너무 자유로운 노드를 경험해 봐서 그럴진대, 규칙이 아주 strict 하게 정해져 있는 스프링을 공부하면 화가 날 때가 있다(..) 주로 '이걸 이렇게까지 해야 된다고?;;;', '아니 이 계층이랑 이거는 중복된 것 같은데? 왜 이래 이거??' 이런 것들...